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백준3052번
- java기초
- 자바스크립트
- node.js
- padStart
- gethours
- appendChild
- classList
- JavaScript#조건문#conditional
- 스택큐
- javascropt
- getMinutes
- dateobject
- sanitize-html
- LEFTJOIN
- Database
- function
- JavaScript
- Login
- 스파르타코딩클럽
- SQL
- JOIN
- 올바른괄호
- localstorage
- 웹개발종합반
- padEnd
- classname
- 프로그래머스
- MySQL
- 시간보여주기
- Today
- Total
just do it
미국울트라스텝/증시환율전망/EU에너지위기횡재세/실리콘벨리경제학자 본문
미국 울트라스텝 밟을까? 이번주 증시, 환율 전망
미국 금리 생각보다 많이 올릴 듯
시장 컨센서스 0.75%p 예상 -지금은 이만큼 올림
시장이 두려워 하는건 미국의 물가지수가 물가장기화 관련 근원물가(임대료)등 안좋아서 긴장
금리인상폭도 중요한데 물가의 종작역이 어디냐가 핵심
지금까지 정책으로 봐서 우리가 생각하는 수준으로 떨어지지 않았어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거보다 훨씬더 강한 긴축 예상
6,7월 FOMC에서 금리종착역이 4%까지 올릴거라 예상했는데 시장에서는 5%까지도 이야기 하고 있어
여긴아직 시장 반영 안함
얼마 올릴거냐 보다는 금리 종착역에 대한 고민이 관전포인트.....
앞으로도 4% 이상 금리로 머무를거다? 미국은 그래야 될거같은게 잭슨홀 연설에서도 물가 다시 재발 막기 위해 쉽게 낮추지 않을거다이야기. 가장큰 문제가 임금하고 임대료 인데 둘다 경기후행지표야 집값 떨어져도 임대료 1-2년 집세 계약문제때매 그때야 떨어져 문제는 새로 계약하는 시점에 다시 오르면 문제
최근 주식시장 불안은 연준이 연말에 금리 내릴거야 기대 있었는데 지금은 이런식으로 물가 안잡히면 계속 고금리 할거야 란 대한 불안감, 언제까지 유지할거냐
내년에도 금리인하 없을거같다는게 중론
기름값 잡히면 내릴까 했는데 월세랑 임금때문에 발목잡힘...임금은 비가역적이라 더 물가 상승에 기여.....
고금리가 잠깐이면 괜춘인데 몇년씩 이면 사람들의 생각도 다르고 그럴건데
코로나 이전 초저금리 였는데 어쩔수없이 저금리 아니면 성장 나타나지 않고 이정도 저금리여야 고용하고 투자하고인데
5%금리 계속되면 괜찮아? 안괜찮음 연준에서도 지속유지하겠다는게 물가잡기위해서고 몇년동안까지 유지하긴 어렵
문제는 어설프게 정책전환 기대만들면 더 어려워 지기에 기대 없엔 상황에서 나중에 갑자기 정책전환 할가능성
고금리 지속보다 금리 수준이 문제, 과잉부채에 아킬레스건, 결국 4%에서 더높이는건 어려울수도있단느 의견도.
가장큰 불확실성은 금리 상승 지속 여부, 어느정도 확정되면 시장이 선반영인데 현재상황은 지난해이후 연준말 계속 바뀜
투자자가 연준생각의 종착역 정확한 판단기준 나오지 않음, 그래도 이번 연준은 어느정도 기준점은 될듯
주가는 언제올라? 이미 경기침체는 반영된 부분 이 있고 물가가 이정도면 정점 찍었고 앞으론 내려갈 일만 남았겠다 싶을때, 올 연말쯤 예상함 주거비 1년 시차가 있다고 하는데 반영되는 시점이 올 연말임
현재 금리올리는 정책도 실제 경기에 미치는시점도 6개월 후 연말임 미국 실업률 올라가고 일자리 관련 수요 줄고 하면서 정책적으로 경제가 식어나갈 가능성 있으니까...... 연말 거의 물가 정점 확신
환율.... 1400원대 .... 이것도 문제야 환율은 거의 예측 불가능.. 우리만의 문제가 아닌 글로벌적 문제...
환율 어려운 이유는 미국 경제가 더 좋고 긴축 마니하고 그외 미국 외 지역 경기 안좋은데 긴축속도고 미국만 못해
중국 위완화와 한국 관련도 높은데 거기도 안좋아
언제가 고점이야?? 한국시장 우리정책당국의 조치보다 미국에 달려있음, 미국의 정책금리 상승 브레이크 걸리거나 미국경제 생각보다 안조아서 금리인상폭 덜할때 연말 내년초 예상 비슷
에너지위기 겪는 EU 에너지 기업에 횡재세 부과 추진
천연가스 가격계속 올라서 유럽연합차원 대첵 만들기 중, 대표적으로 횡제세 부과하자
에너지가격 급등으로 과도하게 돈버는 비가스 관련 회사에 대해서 유럽연합이 세금 걷어보자 하는 이야기
취약 가계나 기업 지원하자. 비가스회사= 전기 만드는데 풍력 원자력 수력으로 만드는 회사들
가스가격 올라서 가스회사는 돈 못벌어, 비가스는 돈버는중, 유럽전기료 부과 시스템 보면 가스로 전력생산하지 않는 업체는 시장현물가격이 전기요금 일정수준이상 올라가면 세금걷자, 권고사항
실리콘밸리가 기술자 아닌 경제학자 고용하는 이유
가격과 제품 개발부터 전략에 이르기까지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실리콘밸리가 경제에 눈길을 보내고 있음, 경제학자들은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하는 데 능숙해 이를 활용할 수 있음
레고가 기업들의 새로운 성장동력 이 되고 있음, 레고룸 만들어놓는 등
LSP 라고 하는데 진지한 놀이로 발전시켜 과제나 스트레스 불안감에 도움이 되고 문제해결능력 개발하게 함
'경제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년1분기까지증시전망/미국 아프리카 투자에 올인 (0) | 2022.12.20 |
---|---|
2023년 투자환경(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0) | 2022.11.26 |
2022년의 기술권력 이동 (0) | 2022.09.01 |
은행어플전체상품비교/청약통장가입자수감소/유럽천연가스가격상승 (0) | 2022.08.24 |
제주렌터카총량제/종부세개정안국회시한넘겨/아르헨티나고물가/미국리쇼어링중 (1) | 2022.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