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사

2023년 투자환경(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밍풀 2022. 11. 26. 14:38

2023년 투자환경 및 주식시장 전망

22년 채권, 주식시장 둘다 안좋았음

연말 투자환경 호전되긴함, 금리도 조금은 안정 ->기대 조금 커지긴함

미국중간선거이후 1년간 마이너스 수익 없, 중국 당대회 이후 부동산 주식 좋았단 통계 ->23년 기대

최근 거시지표, 우리기업 지표보니 좋진 않아

주가지표는 경제 + 기업실적 튼튼해야 올르는데 둘이 부실, 주가가 너무 빨리 오르면 불안정 언제떨어질지몰라

주식은 선반영하는데 지금 안좋고 내년상반기 안좋으니 올여름부터 반영한거 아님? 

내년시장전망 긍정적으로 보는 수출, 반도체 내년하반기부터 좋아질거다 식

근데 문제는 내년 경기저점이 정말 안전한건지는 의문 = 내년 경기방향성이 U자 V자 패턴중에 U자 기대 

상반기 내려갔다가 하반기 오르는 

내년하반기에 잠깐 좋아질순 있는데 그 다음 재하강의 문제는 없는지 판단해야

내년 재상승시에는 물가문제는 끝났다고 봐도 되는데 물가진정은 소비가 둔화됬다는 의미

기업들의 영업환경 악화, 그때부터 투자에 소극적, 고용 타이트, 가계소득 불안정, 다시 경기침체 가능성 있더라

1980년대에 확인된 현상, 미국 70년대에너지파동 ;해결위해 정책금리 올리니까 80년대초 마이너스성장 물가진정 이러니 다시 GDP좋아져, 근데 문제는 그 다음부터 고용망가져, 미국경제는 82-83년에 다시 침체되어 이중침체

지금도 역시 일자리 풍부, 임금오르니 물가만 잡으면 문제 없을거야인데 지금아닌 내년상반기정도 기업실적 둔화되면 전체적 사회분위기 가라앉을것, 내년 어느시점에는 인하이야기 할 것, 그 신호= 경기침체, 위기

다시 반동할순있으나 다시 내려갈것 예상 

지금은 고금리시대, 고금리가 문제 해결안됬는데, 내년상승 및 금융장세를 기대하는건 아직 이르다

금리는 내년하반기정도에 금리인하 구체화 될 수 있음. 인하된다고 해결되는게 아니고 

이후에 경기침체오고 자산가격떨어졌을때 줍줍할 수 있기 위해 지금은 현금확보 기업이든 투자자든

판다는 의미 보단 바로 신속한 자산 가지고있는게, 현금화 자산 봐야하는데 거리많은쪽 

그나마 채권, 주식 부동산은 함부로 건들지 않, 안전한곳에 캐시카우 가지고 있다가 상황보고 즉시 원하는 투자자산 사도록 위해 일시예치, 지금 금리가 고점이라보고 채권투자는 괜춘

어제 한국은행에서도 1.75정도로 눈높이 낮춤 물가는 3 후반, 지금 비교했을때 조금 다운 된다 

시장금리가 드라마틱하게 내려가진 않을거야 내년은, 공격적배팅보다는 가급적 여유있게 운영할수 있는 자금 지금부터 채권비중 높히면 나중에는 큰 도움, 중립금리 이하로 내려갈때, 채권가격이 매력적인 편 지금은, 앞으로도 이금리 평범하지않

미국 신용카드 신청률 증가

코코아 생산국들의 카르텔

2023년 경제이슈 10가지